사업장관리번호 조회


이번에 육아휴직 사후지급금 관계하여 조회를 하려고 했는데 교역장관리번호가 소요하더라고요. 최초에는 교역장번호인줄 알았는데 암만 쳐봐도 안되지 뭐예요? 상세히 봤더니 교역장관리번호였네요. 둘의 성품은 엄연히 다르니 저처럼 햇갈려하지 마시고 현재 제대로 알고가세요! 교역장관리번호 조회방법 정말 쉬우니 잘 따라오세요
교역장관리번호 조회방법
일반 교역장관리번호를 조회하는 까닭은 현재 고용보험 및 건강보험에 잘 가입이 되어있는지 인정하기 위해서인데요. 저처럼 육아휴직 사후지급금 확인서 작성 요망을 받을 때 파일을 열람하기 위해서도 교역장관리번호가 소요할 때가 있더라고요.
교역장관리번호 조회
조회방법에는 방대하게 두 가지가 있는데요. 민생연금공단과 근로복지공단에서 각각 조회가 가능합니다.
민생연금공단에서 조회하기
먼저 민생연금공단에서 조회하는 방안입니다. 아쉬운 대로 아래에서 열기를 클릭하시면 조회할 수 있는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민생연금공단 메인화면에서 전자민원 → 교역장민원을 클릭합니다.
조회 카테고리에서 교역장관리번호 조회를 클릭합니다.
교역자 등록번호, 교역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선정정보에서 가입여부는 '가입' 교역장 관장지사는 기업 거주지 관장지사를 찾아서 입력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교역장관리번호 조회가 바로 잠재하는데요. 결점은 '사업주 주민등록번호'가 소요하다는 점이 조금 가중스럽게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민감하신 분들은 바로 다음 조회방법인 근로복지공단에서 조회하는 방안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 조회하기
민생연금공단에서 조회하는 방안이 껄그러우신 분들에게 안내하는 방안입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 조회하는 경위 따로 교역주의 주민등록번호가 소요하지 않아서 좀 더 무난하고 간편하게 조회가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먼저 아래에서 여기를 클릭해서 조회할 수 있는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근로복지공단 메인화면에서 단골소통 → 민원/조회 → 교역장관리번호 찾기(사업장용)을 클릭합니다.
교역장관리번호를 조회하는 것이기 탓에 산재나 고용이나 아무거나 선정 후 교역자등록번호를 입력한 뒤 관장지역을 기입하고 맨 아래 가입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위 형상처럼 관리번호가 바로 교역장관리번호를 뜻합니다. 따로 주민등록번호도 소요없이 교역자번호만으로 조회가 가능하니 참 간편한 방안이죠??
제 경위에는 앞서 말했듯이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확인서를 열람하기 위해 교역장관리번호가 소요했었는데요. 일반은 근로자(노동자)가 4대보험 중 산재 및 고용에 가입되어 있는지 인정하기 위해서 소요한 방안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